⁂ Oracle DB/: 기본 익히기

[Oracle] #1-1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이해하기

김갱환 2022. 8. 18. 12:17

1. DataBase?

 

1) DB 개론

 데이터는 장치마다 저장의 한계가 있다.

 그리고 데이터는 저장만 하는 것이 아니라 꺼내와서 필요한 곳에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서 사용할 때 좀 더 규모있는(대용량의) 단위의 데이터를 다룰 필요가 있다.

 그럴 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DB, DataBase이다.

 데이터가 저장되는 가상의 공간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 데이터의 중복을 막을 수 있고 자료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쉽게 검색 할 수 있고 데이터의 통합이 쉽다.
 그리고 여러 사람이 함께 자료를 열람 할 수 있고 보안을 적용 하기가 쉽다.
 마지막으로 대용량의 기억공간를 제공해준다.

 

 이 DB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라 부르며.

 그 중 하나가 바로 Oracle이다.

 

2) DBMS의 종류와 규모 

  - Oracle DB : 중대규모 기업의 데이터베이스로 사용, JAVA 기반.
  - My-SQL : 중소 기업, PHP, JAVA 기반. > Oracle로 편입되었다.

  - Maria DB : My-SQL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 라이센스비용이 무료라서 널리 쓰임.
  - SQLite : 스마트폰 및 임베디드 기기의 내장 데이터베이스로 사용, Android, iPhone.
  - MS-SQL : 중소 기업, MS기반 운영체제만 사용 가능, ASP.NET.
  - 오피스 : ACCESS(.mdb) > ms office에 내장되어있는 DB
  - Google Cloud : Java, Perl

 

 이 중 어떤 것을 배워도 무방하다.

 DB의 사용 방법은 대부분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 카테고리 안에선 Oracle DB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교육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려 한다.

 

* DB와 관련된 여러 교재들을 살펴봐도 좋지만 교육부에서 나오는 NCS학습모듈을 살펴봐도 도움이 된다. *

 

LM2001020205_데이터입출력구현.pdf
7.49MB
LM2001020232_응용SW+기초+기술+활용.pdf
9.96MB

 

 

2. DataBase의 형태와 용어

 

1) DateBase의 형태

 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 SQL문이 필요하다.
  -> 예) Oracle DB, MySQL, MariaDB, MS-SQL

 

 ② NoSQL 데이터베이스
  -> SQL문이 필요없다.
  -> 예) MongoDB

  * 향후 전망을 크게 보지 않는 편이다. 빅데이터 취급을 위해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2) SQL?

 SQL이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줄임말로 직역하면 구조화 퀴리(질의) 언어로 데이터 베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이다.

 여기서 질의(Query)의 뜻은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요청한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추후 Oracle DB를 배워가며 더 자세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3) 데이터베이스의 용어
 - 테이블 table :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기본 단위
 - 칼럼 column, 필드, 열
 - 레코드 record, 행, row, 줄

 

   예) 테이블 : 성적

       이름     국어   영어   수학   평균
       ------------------------------------------
       홍길동    100     90     80    95
       진달래     30     50     60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