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
코드를 아무리 잘 짜도, 출력하지 않으면 아무도 볼 수 없다.
즉 데이터들을 어떻게 출력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우선 본문에 출력시키기 위한 명령어부터 배워보려 한다.
이 명령어는 document.write() 로 쓰이는데 이 소괄호() 안에 들어갈 값이 중요하다.
자바스크립트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1) 숫자형
숫자형은 document.write(); 의 값에 숫자를 입력하면 된다.
document.write(123);
document.write(456);
document.write(789);
2) 문자형
문자형은 document.write(); 의 값에 문자를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문자를 ' 또는 " 기호로 감싸야 한다.
document.write('KOREA');
document.write("SEOUL");
// document.write('JEJU"); 에러
// document.write(대한민국); 에러
3) 논리형(boolean)
논리형은 숫자도 문자도 아니다.
그 값이 맞는지, 틀린지를 찾는 형태이다.
document.write(true);
document.write(false);
document.write('true'); // 문자형
여기서 퀴즈!!
아래의 값에 맞는 데이터형을 옆에 적어보자.
(정답은 맨 아래에)
2. 출력
1)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 문법 사용하기
이제 위에서 적은 데이터들을 출력하고자 한다.
그런데 글씨들이 다 붙어서 나온다.
그래서 습관을 따라(습관이 벌써 생겼다니) HTML에서 했던 것처럼 <br>을 입력했다.
될까?
전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script>는 자바 스크립트의 문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
자바 스크립스단에서도 HTML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로 문자형으로 기록하면 된다.
아래의 코드를 확인해보자.
document.write("대한민국");
document.write("<br>");
document.write("오필승 코리아");
document.write("<hr>");
2) 문법에 사용되는 기호를 단순 기호로 인식시키고 싶을 때
문법에 사용되는 따옴표나 /(슬래시) 를 단순 기호로 사용하고 싶어도 코드로 그냥 작성하면 오류가 난다.
그럴 때는 기호 앞에 역슬래시(\)를 붙여주면 단순 기호로 인식하게 된다.
키보드에 역슬래시가 없다면 엔터 위의 버튼을 눌러보자.
더블유에 선이 그어진 모양의 기호가 역슬래시와 혼용되어 같이 사용된다.
퀴즈 정답 1) 정수형(양의 정수) 2) 정수형(음의 정수) 3) 정수형(실수) 4) 정수형(실수) 5) 문자형 6) 문자형 7) 논리형
'⁂ Java Script > : 기본 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2-2 형 변환(Type Conversion) (0) | 2022.08.04 |
---|---|
[JS] #2-1 연산자(Operator) (0) | 2022.08.03 |
[JS] #1-4 객체 (0) | 2022.08.03 |
[JS] #1-3 상수와 변수 (0) | 2022.08.03 |
[JS] #1-1 Java Script에 발을 내딛다 (0) | 202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