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알아보며 다뤘었던 MVC 패턴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려 한다.
[JSP] #6 웹어플리케이션의 구조
1. JSP 웹어플리케이션의 구조 JSP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는 크게 모델 1 구조와 모델 2 구조로 나뉜다. 이를 결정하는 것은 DB에 달려있다. 관리해야하는 데이터가 많을 수록 모델 1의 구조의
ddcloud.tistory.com
1. MVC 패턴의 구성 및 흐름
위의 그림처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컨트롤러가 모델(데이터 베이스)에 로직 처리를 하여 받아온 뒤 뷰에 표출시켜 응답을 시키는 형태를 MVC라고 한다.
모델 : Database > JDBC, JPA, MyBatis Framework
컨트롤러 : .jsp / .asp / .php / .py
뷰 : HTML, CSS, JavaScript, jQuery, JSP, EL/JSTL
이 게시글부터는 모델 2 방식으로 MVC 패턴을 사용하려 한다. 그렇기에 꼭 알아야 할 것이 있다.
바로 EL/JSTL 문법이다.
2. EL/JSTL
모델 1 방식에서는 스크립트릿을 사용하여 뷰에서 해야할 것과 모델에서 해야할 것을 동시에 처리했다.
그러다보니 흔히 말하는 스파게티 코드가 발생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뷰단에는 확실하게 뷰단에서 처리할 것들을 처리하고, 백단에서는 자바에서 처리할 수 있는 문법을 EL/JSTL을 활용하여 최대한 처리한다.
그리고 이 작업을 하기 위해 꼭 사용하는 클래스가 있다.
그것이 바로 HttpServlet 클래스이다.
이 클래스를 활용하기 위해선 또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DispatcherServlet 클래스(Spring Framework)와 ActionServlet(Struts Framework)클래스를 활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우린 Spring 프레임 워크를 활용할 DispatcherServlet 클래스를 활용할 예정이다.
개념은 이정도로 설명을 하고 우선 EL/JSTL에 대해서 알아보려 한다.
'⁂ JSP > : 기본 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11-3 EL(Expression Language) - 기본 문법 (0) | 2022.10.26 |
---|---|
[JSP] #11-2 Http 에러페이지 만들고 띄우기 / web.xml 파일 수정하기 (0) | 2022.10.26 |
[JSP] #10 파일 업로드 (0) | 2022.10.20 |
[JSP] #9 자바 메일 보내기 (0) | 2022.10.19 |
[JSP] #8 쿠키 클래스 (0)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