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ring FrameWork

    [Spring] #3 프로젝트 만들기(Maven)

    1. 스프링 프로젝트 만들기 이제 본격적으로 스프링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자. 만약 프로젝트를 만들지 않았다면 하단의 1번째 그림처럼 창이 떠있다. 프로젝트를 만들었다면 File - new - other에서 아래와 같이 찾아서 만들 수도 있다. 1) 옵션 선택하기 옵션창에서 기본적으로 특별하게 건들 것은 없다. 우선 이 프로젝트의 타입을 둘 중 하나 선택해줘야한다. 그리고 Packging 타입도 결정해주어야 한다. 위의 창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Name : 프로젝트 이름 Type : 프로젝트 빌드 및 의존성 관리 Maven | Gradle Packaging : Jar | War Java Version: Language : Java | Kotlin | Groovy Group : 자신에게..

    [Spring] #2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특징

    1. 스프링 프레임워크 이해하기 스프링을 사용하기 위해서 우선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특징을 알아봐보자. 1) 유연성 스프링은 확장성이 높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통합하기 위해 간단하게 기존 라이브러리를 감싸는 정도로 스프링에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많은 라이브러리가 이미 스프링에서 지원되고 있고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를 별도로 분리하기도 용이하다. 또한 스프링은 Plain Old Java Object 방식의 프레임워크이다. 일반적인 J2EE 프레임워크에 비해 구현을 위해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상속을 받을 필요가 없어 기존에 존재하는 라이브러리 등을 지원하기에 용이하고 객체가 가볍다. 2) JDBC와 JPA 스프링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자료를 저장 및 읽어오기 위한 여러 가지 유명한 ..

    [Spring] #1 STS 설치하기 :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 환경구축하기

    1.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의 기본 이해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Spring)이라고도 한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서 쓰이고 있다. 또한 스프링은 웹 프로그램밍 개발 시 거의 표준적인 방식인 Spring MVC라 불리는 모델-뷰-컨트롤러(MVC) 패턴을 사용한다. DispatcherServlet이 Controller 역할을 담당하여 각종 요청을 적절한 서비스에 분산시켜주며 이를 각 서비스들이 처리를 하여 결과를 생성하고 그 결과는 다양한 형식의 View 서비스들로 화면..